top of page

귀금속

  • 작성자 사진: restoreproject
    restoreproject
  • 2022년 1월 6일
  • 1분 분량

貴金属 / ききんぞく


아름다운 광택(光澤)과 고운 빛깔을 띠며, 녹슬거나 변(變)하지 않는 값비싼 쇠붙이


  • 1920년 5월 27일 동아일보 3면에 등장한다.

  • 조선왕조실록으로 검색 시 주로 패물, 금, 은, 세공으로 검색되는 반면 귀금속은 1900년대 이후 등장한 용어이다.

  • 처음에 주로 수입된 장신구 물품에 귀금속이란 단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일본을 통해 서구식 장신구가 박래품으로 수입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八十圓小切(팔십원소절)로 일쳔팔십원을사취하야 동아일보 | 1920. 05. 27

ree
貴金屬裝身具商(귀금속장신구상) 동아일보, 1922. 03. 13


ree
貴金屬裝糸具(귀금속장사구) 製造時計眼鏡商(제조시계안경상) 조선일보 | 1921. 02. 2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잎파리

반지나 목걸이의 메달의 큰 보석이 들어갈 때 큰 보석을 꾸며주기 위해 주위에 식물의 잎처럼 들어가는 장식

 
 
 
원본기술

주로 은을 사용해 정밀주조이 주물 작업에 필요한 원본을 처음부터 끝까지 만드는 기술 원본기술은 주로 은을 사용해 원본을 처음부터 끝까지 만드는 기술로 처음에는 순은 92.5%과 구리 7.5%를 조합해 녹여 정은(sterling silver:...

 
 
 

댓글


앙코르 

예지동 시계골목 이야기

IMG_0047_edited_edited.png
미래유산 로고(이미지) (1)_edited_edited.png
유무형연구소_로고_edited.png
logo_gyeonggi.png

Contact Us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59 세운상가 세운메이커스큐브 301호 앙코르 시계 복원 작업장

  • 페이스 북 - 흰색 원
  • 인스 타 그램 - 흰색 원
  • 유튜브 - 흰색 원

Copyright ©2020 by 예지동 시계골목 이야기.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